들어가며
LG U+와 카카오 모빌리티가 전기차 충전소 운영업 합작회사를 설립한다.
전기차 충전소 운영업은 CPO 라고 하여, Charge Point Operator 라고 한다고 한다.
LG U+ 는 이미 전기차 충전사업을 하고 있고, 카카오모빌리티는 관련 플랫폼이 있어서 두 회사 합작 회사 설립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공정거래위원회가 승인을 해 주었다.
여기서 관련된 자료가 좋아서 현황을 적어본다.
전기차 보급 현황
2023년 기준 전체 자동차는 25,949,201대이다. 약 2600만대 라고 알면 되겠다.
그 중 전기차 수는 543,900대이다. 약 54만대 라고 알면 되겠다. 전체 자동차 대비 2.1% 수준으로 보급되었다.
전체 전기차 증가 추세 대비하여, 전기차 수는 매년 1.5배 내외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기차 충전시장 현황
전기차 충전기 분류
- 완속 충전기: 최대 출력값 40kW 미만인 충전기. 주로 3~7kW 가 설치. 완전방전에서 완전충전까지 약 8시간 소요
- 급속 충전기: 최대 출력값 40kW 이상인 충전기. 주로 50~200kW 가 설치. 완전방전에서 80%충전까지 약 30분 소요
전기차 충전기 보급 현황
2023년 기준 전체 충전기는 305,309기 이다. 약 31만기 라고 알면 되겠다.
그 중 완속 충전기가 270,923기 이다. 약 27만기 이며, 88.7% 수준이다.
급속 충전기는 34,386기 이다. 약 3만기 이며, 11.3% 수준이다.
전기차 충전기 수도 매년 1.6배 내외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기차 충전소 운영업(CPO) 시장 현황
전기차 충전소 운영업은 현재 춘추전국시대 라고 할 수 있다.
수도 없이 많은 곳들이 충전기를 만들고, 충전량이나 요금을 알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 환경부 보조금 사업이 있어서다.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인프라가 필요하고, 그 인프라 구축 장려를 위해 환경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해준다. 알다시피 정부 보조금은 빨리 타먹는 사람이 임자이기 때문에 수많은 회사가 생겼고, 앞으로는 서서히 정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중소기업에서부터 대기업까지 정말 설립, 인수, 합병, 폐업 등 난리통일 것이다.
2023년 7월 기준, 대략적인 전기차 충전소 운영업(CPO) 현황은 아래와 같다.
사업자명 | 설치대수(대) | 점유율(%) |
GS 그룹 (지에스커넥트, GS칼텍스, 차지비) |
38,332 | 16.6 |
파워큐브 | 33,683 | 14.6 |
에버온 | 25,475 | 11.0 |
SK 그룹 (홈앤서비스, SK일렉링크, SK에너지, SK시그넷) |
19,052 | 8.2 |
스타코프 | 17,637 | 7.6 |
휴맥스이브이 | 13,186 | 5.7 |
한국전력 | 10,784 | 4.7 |
이지차저 | 8,217 | 3.6 |
플러그링크 | 7,880 | 3.4 |
환경부(한국자동차환경협회) | 7,035 | 3.0 |
대영채비 | 6,126 | 2.7 |
현대자동차 그룹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현대엔지니어링) |
4,669 | 2.0 |
이카플러그 | 4,486 | 1.9 |
클린일렉스 | 4,020 | 1.7 |
한국전자금융 | 3,199 | 1.4 |
레드이엔지 | 3,049 | 1.3 |
차지인 | 2,843 | 1.2 |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 | 2,670 | 1.2 |
LG유플러스 | 2,507 | 1.1 |
기타 | 16,177 | 7.0 |
합계 | 231,027 | 100.0 |
마치며
전기차 로의 전환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사용자들 불편하지 않게 각 충전사업자 별 로밍 협약이 잘되어서 각 충전사업자 별 앱을 받는 등의 귀찮은 행위가 일어나지 않으면 좋을 것이다. 끝.
'업무 후기 > 보도자료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보도자료] 바이든 대선후보 사퇴에 대한 시장참가자들의 평가 (0) | 2024.07.25 |
---|---|
[전기]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 및 에너지효율 등(국회입법조사처 자료) (0) | 2024.06.13 |
[인구 감소] 2024년 2월 출생아 수 2만명 붕괴, 역대 최저 (0) | 2024.04.25 |